2025. 8. 29. | Vol. 25-32 | 📬구독하기 |
|
|
한–콜롬비아, 디지털·AI 혁신 협력 강화 논의
- 콜롬비아 보고타시 대표단, GDIN 방문… DX/AX 혁신 기술 협력 모색 |
|
|
8월 25일, 콜롬비아 보고타시 대표단이 GDIN를 방문했습니다. 이번 방문은 한국과 콜롬비아 간 혁신 기술 생태계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습니다.
김종갑 GDIN 대표는 환영 인사에서 한국 헬스케어 혁신 기업 헬스온클라우드의 콜롬비아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디지털 전환과 AI 활용 가속화를 위한 양국 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어 장석진 사업본부장은 판교 테크노밸리의 현황과 국내 혁신 기술 생태계 동향을 설명하고, 디지털 전환과 사업화를 촉진할 수 있는 협력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간담회에는 헬스온클라우드 전상훈 대표와 콜롬비아 AIAWA Tech의 Claudia Isabel Reyes Moreno 대표도 참석해, 헬스케어 분야에 AI를 적용하기 위한 협력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이번 대표단에는 Carlos Fernando Galán 보고타 시장, María del Pilar López-Uribe 경제개발실장, María Alejandra Baquero Cimadevilla 비서실장, Andrés Santamaría Garrido 관광국장, Alejandro Peláez 주한콜롬비아 대사 등이 함께했습니다. |
|
|
ChatGPT 독주 체제 끝나나?
- a16z 최신 리포트 공개, Gemini와 Grok의 맹추격 확인 |
|
|
벤처캐피털 Andreessen Horowitz(a16z)가 AI 사용현황에 대한 최신 리포트 "Top 100 Gen AI Consumer Apps"를 공개했습니다.
리포트에 따르면, 지금까지 독주하던 ChatGPT를 구글의 Gemini, xAI의 Grok이 빠르게 따라잡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집니다. 우리가 눈여겨 봐야할 지점들을 정리해봤습니다.
📌 어떤 변화가?
-
ChatGPT 독주 → 다자 경쟁 구도
-
구글의 전략적 분화
-
Gemini, AI Studio, NotebookLM, Google Labs를 각각 독립 서비스로 운영.
-
AI Studio는 스타트업에게 생태계 참여 기회 제공.
-
Grok의 폭발적 성장
-
2024년 말까지는 단독 앱도 없었으나, 1년 만에 MAU 2천만 명 돌파.
-
Grok 4 출시(2025년 7월) 후 트래픽이 40% 급상승.
-
빠른 성장세는 “차별화된 포지셔닝”이 통한다는 신호.
-
Meta AI는 제자리 걸음중
-
중국 AI 기업의 글로벌 약진
-
웹 상위 20위에 Quark(알리바바), Doubao(바이트댄스), Kimi(문샷 AI) 포함.
-
모바일 상위 50위 중 22개가 중국 기업.
-
내수 기반 → 글로벌 확장 모델을 보여주는 사례.
-
새로운 플레이어 등장
이제 AI 시장은 특정 서비스의 독점 체제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경쟁하면서 공존하는 구도로 바뀌고 있습니다. 새로운 실험적 서비스와 함께 개발자 친화적 환경이 스타트업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있습니다. 바이브 코딩, 이미지 편집, 음원 생성 등 특정 분야에 차별화된 니치 전략이 스타트업의 성장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리포트 전문을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
|
|
미래 친환경 에너지 주도권은 어디로?
-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뒷걸음치는 미국, 신흥국 진출에 열올리는 중국 |
|
|
미국 트럼프 정부는 기후변화 문제를 “세기적 사기”라 부르며, 전임 정부와 명확히 차별화된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친환경 에너지 보조금 폐지, 전기차 구매 보조금 폐지 등 재생에너지(청정에너지) 시장에서 단호하게 돌아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중국은 전기차와 2차 전지 시장에서 이미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청정에너지 분야에서도 글로벌 선두를 목표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기업들의 움직임을 집중 조명했는데요, 주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 신흥시장을 공략하는 중국
-
대규모 프로젝트 투자: 동남아, 중앙아시아, 남미 등 신흥시장에 집중
-
현지 산업화 전략: 공장 설립, 인프라 투자, 기술 이전을 통해 영향력 확대
-
CATL(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기업) → 인도네시아에 60억 달러 규모 배터리 밸류체인 프로젝트 착공 → 니켈 채굴부터 제조·재활용까지 전 과정 포함
-
Envision(중국 풍력발전기업) → 브라질 정부와 협약, 첫 넷제로 산업단지 구축 → 그린수소·암모니아 밸류체인 개발
-
Gascia-Aksu Alliance(중국 컨설팅기업) →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 지역에 공기 정화 시스템 공장 설립
-
Huzhou Zhongdian Solar / NE Solar → 인도네시아 자회사 PT Rec Solar Energy Indonesia, 상반기 미국으로 2억 1,900만 달러 규모 태양광 패널 수출 → 동남아 최대 태양광 패널 수출기업으로 성장
🔎 중국의 전략
-
단순 수출에서 산업 현지화로 전환: 공장 설립, 기술 이전, 합작법인
-
표준 확산 전략: 태양광, 배터리, 전기차 등 분야에서 ASEAN 국가 에너지 시스템과 중국식 IP 생태계 정렬
-
투자 규모 확대: 2025년 상반기 ‘일대일로’ 관련 그린에너지 투자 57억 달러, 전년 대비 증가
→ 기술, 투자, 표준을 함께 묶어 글로벌 청정에너지 패권 강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CO2를 배출하는 중국이 글로벌 친환경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묘한 상황입니다.
기사 전문을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
|
|
🚀 리벨리온: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이 올해 말 양산 예정인 '리벨 쿼드'를 선보였습니다. '리벨 쿼드'는 메모리 용량과 대역폭을 크게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칩입니다.
🚀 파블로항공: 드론 군집 제어 솔루션 기업 파블로항공이 방산기업 볼크를 인수, 군용 드론 시장 본격 진입을 위한 양산능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자율주행 솔루션 기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가 개발·제작한 자율주행 셔틀버스를 서울 청계천에서 시범운행하고 있습니다. |
|
|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가이드 - 법인 설립과 운영 (15) |
|
|
📖
📢 <스타트업 일본 진출 가이드 - 법인설립과 운영>에서는 우리 기업이 일본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운영할 때 알아두어야 할 기초적 지식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본 가이드는 일본에서의 법인 설립절차와 법인 운영시 필요한 현지 노동법 관련 주요 사항들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뿐, 개별 사무의 법률적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없음을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
|
|
일본 기업의 임금과 보상체계
일본의 임금제도는 법적 규제와 전통적 관행이 함께 작용하는 구조입니다. 이번 호에서는 일본 노동법이 정한 임금 지급의 기본 원칙, 최저임금 제도, 그리고 일본 기업의 임금체계·퇴직금·스톡옵션 제도를 정리해드립니다.
⚖️ 임금지급의 4대 원칙
일본 「노동기준법」은 임금 지급과 관련해 네 가지 원칙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통화지급의 원칙
-
직접지급의 원칙
-
전액지급의 원칙
-
정기지급의 원칙
👉 일본 진출 기업은 이 네 가지 원칙을 반영해 급여 규정을 설계해야 합니다.
💵 최저임금제도
일본의 최저임금은 지역별 최저임금과 산업별 최저임금 두 가지로 운영됩니다. 사용자는 반드시 두 금액 중 더 높은 금액 이상을 지급해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노사 합의가 있더라도 무효가 되고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2024년 10월 기준 최저임금 (시간당):
-
도쿄도: 1,163엔
-
가나가와현: 1,162엔
-
오사카부: 1,114엔
👉 한국 기업은 일본 진출 시 사업 거점 지역의 최저임금 수준을 반드시 확인하고,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임금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 일본 기업의 임금체계
일본 기업의 전형적인 임금 구조는 월례임금 + 상여금으로 되어 있습니다.
-
월례임금: 기본급 + 각종 수당(주택수당, 가족수당, 교통비 등)
-
상여금: 보통 여름(하계)과 겨울(동계), 연 2회 지급
최근에는 성과 중심의 연봉제를 도입하는 기업도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 “상여금”이 전통적으로 중요한 보상 요소라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 퇴직금 제도
일본에서 퇴직금은 법적 의무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기업이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 목적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① 퇴직 후 생활 보장, ② 장기근속 유도
퇴직금은 근속연수와 퇴직 사유에 따라 달라지며, 자발적 퇴직보다 회사 사정에 의한 퇴직 시 더 많이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퇴직금의 주요 형태
-
퇴직일시금: 퇴직 시 일시불 지급 (보통 기본급 × 근속연수 등 자체 계산식)
-
퇴직금공제제도: 중소기업용, 매월 일정액을 외부기관에 적립 후 퇴직 시 지급. 일정 조건 충족 시 연금으로도 수령 가능
-
확정급여연금(DB): 퇴직 시 받을 급여가 미리 확정, 회사가 운용책임. 일시금·연금 형태 선택 가능
-
확정기여연금(DC): 회사가 납입액만 확정, 실제 수령액은 운용 성과에 따라 달라짐. 근로자가 운용 방법 선택
👉 일본 진출 기업은 규모와 재무 여건에 맞는 퇴직금 제도를 선택해 운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스톡옵션 및 주식보상제도
일본에서 스톡옵션 제도는 2001년 상법 개정 이후 본격 도입되어, 현재는 회사법에 근거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특히 스타트업들이 우수 인재 확보와 동기부여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식보상제도의 주요 형태
-
신주예약권 방식
-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
-
퍼포먼스 주식
💡 과세 체계
👉 일본에 진출하는 스타트업이라면, 스톡옵션을 현지 규제와 세제 혜택에 맞게 설계하는 것이 핵심 포인트입니다.
다음 호에서는 노사관계를 구성하는 주요 내용인 취업규칙, 정리해고, 실업보험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
4F, Startup Campus Building #3, 20, Pangyo-ro 289, Bundang, Seongnam, Korea 13488
You are receiving this email because you have visited our site or asked us about regular newslette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