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7. 18. | Vol. 25-27 | 📬구독하기 |
|
|
"현지 기업을 동반자로... 지속가능한 ODA사업 모델이 필요"
- ADB와 동남아 의료 환경 개선을 위한 협력사업 모색 |
|
|
7월 15일 ADB 오기남 국장과 이순재 전문관이 GDIN을 방문, 헬스케어분야 유망기술기업 및 의료계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ADB의 동남아 지역 의료환경 개선을 위한 협력사업을 추진해보자는 취지로 열렸습니다. 오기남 국장은 ADB 차원에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낙후된 의료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특히 원격의료, 병원 디지털전환, 의료 전문인력 양성, 의약품 관리체계 확립, 열대풍토병 예방 치료 분야에서 한국 기업과 기관, 의료 전문가들의 적극적 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김종갑 대표는 IDB와 한-중남미 기술기업간 조인트벤처를 설립하는 협력사업 사례를 소개하면서, 현지 기업들이 한국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개발 모델로 평가받는다 말했습니다. 그는 조달 방식의 기존의 ODA 사업모델은 솔루션 도입후 유지 보수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면서, 선진 기술을 도입하더라도 파트너십을 통해 현지 기업이 운영에 참여하는 방식이 지속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간담회에는 Health on Cloud 전상훈 대표, Optolane 김원봉 본부장, People n Technology 김성태 부대표들이 참석하여 자사의 서비스솔루션에 대해서 발표했습니다. 또한,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박미라 본부장과 허은영부장, 정명재 팀장과 서울의대 열대의학교수리 최민호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 ICT 연구센터 유수영 부교수가 참석, ADB와의 협력 방안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
|
|
2025년 AGI 달성 가능? MS와 오픈AI 파트너십 계약 조항의 문제
- AI 발전을 둘러싼 기술적, 철학적, 경제적 물음 내포 |
|
|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의 파트너십에는 AGI 도달 여부에 따라 계약이 무효화되는 이른바 "The Clause"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조항은 오픈AI가 AGI 달성을 선언하면 마이크로소프트가 최신 모델에 접근할 권리를 잃게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AGI의 실현 가능성과 이를 둘러싼 이해관계가 양사간 긴장으로 이어지면서, 현재 양 기업은 이 조항을 놓고 재협상 중입니다.
🔍 The Clause: AI 계약의 시한폭탄?
이 조항은 처음 언급한 것은 마이크로소프트 CEO 사트야 나델라입니다. 2023년 6월 Wired와의 인터뷰에서 오픈AI와의 계약서에 "AGI가 달성되면 계약은 종료된다"는 조항이 있다 밝힌 것입니다. 인터뷰 당시 이 발언은 주목을 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주요 매체에서 집중 조명되면서 AI 업계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
⚖️ The Clause의 구성
-
AGI 판정권: 오픈AI 이사회가 모델이 AGI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이후 모델에 대한 접근권을 잃게 됩니다.
-
AGI 정의: “대부분의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작업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고도로 자율적인 시스템”
-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결정에 법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수 있지만, 별다른 통제권은 없습니다.
-
수익 가능성 판정: 오픈AI가 개발한 모델이 100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있다면, ‘충분한 AGI’로 간주됩니다. 이 기준에 대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합리적인 선에서 동의해야 하며, 분쟁 시 법원이 판단합니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AGI 개발 금지: 계약 기간 동안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체적으로 AGI를 개발할 수 없습니다.
🔄 왜 이런 조항이 생겼을까?
오픈AI는 AGI의 도달 가능성을 믿었고, 이를 특정 기업이 독점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이 조항을 넣었습니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AGI 실현이 2030년 전에는 어림없다고 보고 큰 문제로 인식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
샘 알트먼은 2025년 내 AGI 도달 가능성을 언급
-
메타, 구글 등 경쟁사들이 AGI 인재 확보 전쟁에 돌입
-
오픈AI는 기업 구조 변경을 통해 영리화 강화 및 투자 유치 확대를 추진 중
이러한 상황변화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의 구조 전환 승인권을 무기로 ‘The Clause’ 폐기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왜 중요한가?
‘The Clause’는 단순한 계약 문구가 아니라, AI가 인간 사회에 어떤 전환점을 가져올 것인가에 대한 철학적, 기술적, 그리고 경제적 물음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
AGI를 정의하고, 도달 여부를 판단할 기준이 무엇인가?
-
수조 달러 가치가 예상되는 기술을 누가 통제해야 하는가?
-
영리 기업이 세계를 변화시킬 기술을 독점하는 것이 옳은가?
AI의 발전은 기술만이 아니라 윤리와 거버넌스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The Clause’의 개정여부와 상관없이, 이 논란은 AI가 어디로 가는지, 그리고 누가 그 방향을 정할 것인지 다시 한번 고민해 볼 계기를 던져주고 있습니다. |
|
|
"게섯거라 ChatGPT"?, 소버린 AI 개발 나선 라틴 아메리카
- 단순 언어 문제 아닌, 사회 문화적 맥락을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
|
|
|
xAI의 Grok이 반유대주의 답변을 내놨다는 뉴스에서 알 듯,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주도하는 AI 기술들도 경향성에서 벗어나지 못한 결과들을 내놓습니다. 특히 언어적 문화적 맥락이 다른 환경의 이용자에게 엉뚱한 대답을 내놓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이른바 '소버린 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 입니다.
라틴 아메리카도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했습니다. 라틴아메리카 30개 이상의 기관이 힘을 모아 지역에 특화된 대형언어모델 ‘Latam-GPT’를 개발 중입니다.
오는 9월 공개 예정인 이 모델은 현지인의 언어 감각과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오픈소스로 제공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 라틴아메리카를 위한, 라틴아메리카에 의한 AI
-
주도 기관: 칠레 국가인공지능센터(CENIA)
-
참여 범위: 중남미, 미국, 스페인 포함 33개 전략적 파트너십
-
학습 데이터: 지역 학교, 도서관, 역사기록, 기업 문서 등 현지 기반
-
언어 다양성: 스페인어뿐 아니라 나우아틀어, 케추아어, 마푸둥군어 등 원주민 언어 포함
-
파라미터 수: 약 500억 개, GPT-3.5 수준
기존 GPT나 Meta의 대형언어모델들도 다국어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중남미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인 스페인어도 중남미가 아닌 유럽 스페인 지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중남미 현지 언어 표현이나 방언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Latam-GPT는 이 격차를 메우기 위해 문화적 표현과 사회적 맥락까지 반영하도록 설계되고 있습니다.
📈 늘어나는 수요, 뒤따르는 기술 개발
라틴아메리카는 도입 속도는 느렸지만 최근 추격의 속도를 높이는 중입니다.
Latam-GPT는 아직 텍스트 기반에 국한되며, 일반적인 질문에 대한 성능은 GPT보다 떨어질 것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 기술, 자원, 법률의 도전과제
Latam-GPT는 야심찬 프로젝트이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도 많습니다.
-
자원 부족: 대용량 컴퓨팅 인프라, 전문 인재, 고품질 학습데이터가 부족
-
환경 우려: 학습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지만, 칠레 북부 학습시설 지역은 수십년째 가뭄 중
-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 각국의 법령 수준 차이로 법적 리스크 상존
-
소수자 대표성 문제: 원주민, 이민자 등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의 참여 보장
Latam-GPT는 아직 시작 단계지만, 지역 주도 AI 생태계 구축을 향한 첫걸음입니다. “우리가 라틴아메리카에서도 이런 기술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 그것이 Latam-GPT의 가장 큰 기여입니다.” CENIA 총괄매니저인 Rodrigo Durán의 말에는 나름의 울림이 있습니다. |
|
|
🚀 트위니: 자율주행기반 물류자동화 솔루션 기업 트위니가 공장자동화 솔루션 연동과 로봇 비즈니스 기회 확대를 위해 휴림로봇과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 아이팩토리: 아이팩토리가 삼성전자와 '인공지능 기반 특허문서 작성 지원시스템' 개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네이션에이: 생성형 AI 기반 3D모션 데이터플랫폼기업 네이션에이가 타임웍스인베스트먼트에서 10억원의 추가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
|
|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가이드 - 법인 설립과 운영 (11) |
|
|
📖
📢 <스타트업 일본 진출 가이드 - 법인설립과 운영>에서는 우리 기업이 일본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운영할 때 알아두어야 할 기초적 지식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본 가이드는 일본에서의 법인 설립절차와 법인 운영시 필요한 현지 노동법 관련 주요 사항들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할 뿐, 개별 사무의 법률적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없음을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
|
|
일본 진출, 어떻게 시작할까? — 법인의 설립
일본 시장에 진출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단기 방문을 통해 거래처를 찾아내고 제품과 서비스 수출계약을 맺는 일은 엄밀히 말하면 '진출'이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본 시장에 진출한다는 것은 법인을 설립하고 현지에서 중장기적으로 비즈니스를 영위하는 것일텐데, 이 때 어떤 형태로 거점을 마련할 것인지는 매우 중요한 전략적 판단입니다. 일본에서의 법인 설립은 다음 세 가지 형태가 가능합니다:
-
주재원 사무소 (Representative Office)
-
지점 (Branch Office)
-
현지법인 (Subsidiary: 자회사)
-
형태: 주식회사(株式会社, K.K.) 또는 합동회사(合同会社, GK)
-
특징: 독립 법인격 보유, 법적 책임도 본사와 분리
-
장점: 신뢰도 높아 일본 기업과 거래 시 유리
-
적합 대상: 본격적인 시장 진입 및 사업 확장 계획이 있는 기업
📌 포인트
-
일본 고객사나 정부기관과 거래할 계획이라면 주식회사 형태의 현지법인(K.K.) 설립이 가장 일반적이며 안정적인 선택입니다.
-
단, 초기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싶다면 지점으로 먼저 진출 후 법인 전환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 주식회사(KK)를 설립하는 절차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회사명 및 본점 소재지 결정
-
정관 작성 및 공증 (공증인 필요)
-
자본금 납입 (일본 내 은행 계좌 필요)
-
법인 설립 등기 신청 (법무국)
-
등기 완료 후 등기사항증명서 수령
-
법인 인감 등록
-
세무서, 지방세무소, 연금사무소 등 각 행정기관 신고
-
법인 계좌 개설 및 사회보험 등록
-
직원 채용 및 노동관계 신고
📌 소요기간
아래 그림은 이 절차를 좀 더 자세하게 풀어놓았습니다. |
|
|
다음 시간에는 법인 설립에 필요한 서류의 종류와 설립후 행정 절차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
4F, Startup Campus Building #3, 20, Pangyo-ro 289, Bundang, Seongnam, Korea 13488
You are receiving this email because you have visited our site or asked us about regular newslette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