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7. 11. | Vol. 25-26 | 📬구독하기 |
|
|
기술 혁신에서 찾는 글로벌 비즈니스 성공 비결
- 남아공 스텔렌보쉬 대학 MBA과정생 GDIN 방문 |
|
|
7월 10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텔렌보쉬대학교(Stellenbosch University) MBA 과정 재학생 20여 명이 GDIN을 방문해 판교 스타트업캠퍼스 등 한국의 혁신 기술 생태계를 직접 둘러보았습니다.
이 자리에서 장석진 GDIN 사업본부장은 한국이 매년 글로벌 혁신 지수에서 상위권을 유지하는 배경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혁신 진흥 정책을 꼽으며, 특히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전폭적인 지원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비즈니스 환경이 글로벌화 측면에서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뒤처진 면이 있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한국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돕는 것이 GDIN의 핵심 미션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방문단은 판교테크노밸리 조성 등 정부의 혁신 생태계 조성 정책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앞으로 한국 기업과의 비즈니스 협력 기회가 더욱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
|
|
|
"299달러면 나만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가능..."
- 허깅페이스, 오프소스 로봇으로 로봇 대중화를 앞당겨 |
|
|
🤖 Hugging Face 로봇개발의 역사를 다시 쓴다
AI 개발자 플랫폼으로 유명한 Hugging Face는 지난 4월 프랑스 스타트업 Pollen Robotics를 인수하면서 로봇산업에 진출할 것이라 파격 선언한 바 있습니다.
인수의 결실이 이제 나왔습니다. 그 주인공은 바로 11인치 크기에 단돈 299달러짜리 휴머노이드 로봇 ‘Reachy Mini’. 책상 위에 올려둘 수 있는 소형 로봇입니다.
목표는 하나, 누구나 AI 로봇을 만들고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 개발자 손에 들어간 로봇
지금까지 로봇 개발은 수천만 원대 하드웨어와 폐쇄형 시스템으로 진입장벽이 높았습니다. Pollen Robotics 인수 당시 밝힌대로 Hugging Face는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AI 모델 플랫폼을 결합해, 로봇 개발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습니다.
-
프로그래밍 가능: Python 기반, Scratch·JavaScript도 지원 예정
-
오픈소스: 하드웨어 설계도·소프트웨어 코드·조립법 전면 공개
-
DIY 키트 제공: 소비자 직접 조립 가능, 무선 모델은 자율 작동
-
AI 통합: Hugging Face Hub에서 수천 개 AI 모델 바로 사용 가능
🌍 누구나 로봇 개발자가 되는 시대
Reachy Mini는 단순한 로봇이 아닙니다. AI 개발자 수백만 명이 Physical AI로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교육·연구: 저렴한 가격으로 대학, 코딩 캠프, 개인 학습자 활용 가능
-
앱 생태계: 'Spaces' 플랫폼을 통해 로봇 앱을 만들고 공유 가능
-
다양한 센서: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내장으로 다채로운 인터랙션 가능
🧠 지금 Reachy Mini에 주목하는 이유?
Reachy Mini는 Hugging Face의 첫 로봇 제품이자, Physical AI 시대를 향한 강력한 시그널입니다. AI가 텍스트와 이미지를 넘어 본격적으로 현실 세계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왜 오픈소스인가?
Hugging Face는 “오픈소스만이 진짜 통제 가능한 AI를 만든다”고 강조합니다.
앞으로의 로봇 개발은 빅테크 기업의 소수 엘리트에게 부여된 폐쇄형 과제가 아닌 모든 개발자와 학습자에게 열린 개방형 과제가 될 수도 있습니다. 청소년 코딩 교육 현장에서 아두이노 킷트가 사용되듯, 오픈소스 기반 로봇이 AI 교육 현장에 쓰일 날이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
|
|
5억 사용자를 두고도 실패, WhatsApp의 인도 실패기
- 디지털 결제 시장에서 존재감 미미, 결국 문제는 사업의지
|
|
|
MAU(월간 활성 사용자) 30억 명을 자랑하는 세계 최대 메시징 앱 WhatsApp. 하지만 디지털 결제 시장, 특히 인도에서는 그 위세를 전혀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무려 5억 명이 사용하는 ‘국민 앱’이지만, 결제 시장에서는 존재감이 미미하죠.
📊 인도 결제 시장에서 WhatsApp Pay의 현실
2024년 12월 ~ 2025년 5월 기준 거래 수:
UPI(인도 통합 결제 시스템) 기반 거래의 80% 이상이 Google과 PhonePe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 WhatsApp Pay가 실패한 5가지 이유
1️⃣ 타이밍, 타이밍, 타이밍
- 2018년 결제 기능 테스트 당시, 인도 정부가 데이터 현지화, Facebook과 데이터 분리 요구하며 사용자 100만 명 제한(당시 WhatsApp 사용자는 400만 명).
- 제한이 풀렸을 땐 이미 Google Pay, PhonePe가 시장을 장악한 뒤였습니다.
2️⃣ 차별화 없는 서비스
- 기능 개선, 보상 시스템, UI 업데이트 등 이렇다 할 변화 없음.
- 반면 경쟁사는 현금 리워드, 쿠폰, 공격적 마케팅으로 사용자 확대
3️⃣ 핀테크 정체성 부족
- 사용자들 눈엔 WhatsApp은 여전히 그냥 메시지 앱.
- 결제 기능에 대한 신뢰도, 브랜드 이미지 모두 약함.
4️⃣ 사업 의지 부족
- Meta는 Facebook·Instagram은 적극 밀지만, WhatsApp Pay는 소극적.
- 2022년 현지통신사 Reliance Jio에 57억 달러 투자, 온라인 쇼핑 자회사 JioMart에 WhatsApp 기반 주문서비스 런칭하려했으나 흐지부지 끝나
5️⃣ 경쟁사 대비 떨어지는 사용자 경험
- Google Pay·PhonePe는 세련된 UI, 실시간 알림, 풍부한 리워드 제공.
- WhatsApp Pay는 기본적인 기능만 제공하고 끝.
🧭 문제는 규제도 기술도 아니라 ‘의지’
인도 당국은 결국 WhatsApp의 발목을 잡던 결제 서비스 사용자수 제한을 해제했습니다. QR코드, 보상 시스템, 간편한 UI 구현, 경쟁사들의 장점이라 꼽히는 기술도 WhatsApp이 뒤떨어질 이유는 없습니다.
현지 전문가는 “기술이 부족한 게 아닙니다. 그냥 WhatsApp이 정말 하고 싶은 마음이 없어 보였을 뿐”이라고 지적합니다. 어쩌면 비즈니스의 성공은 신뢰를 얻으려는 ‘의지’에서 시작되는지 모르겠습니다. |
|
|
🚀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자율주행 전문 기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가 그랩과 협력해 싱가포르 도심 공공도로에서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를 정식 개시합니다.
🚀 웨이센: AI 내시경 솔루션 기업 웨이센이 베트남 보건부 산하 의료기관 후에중앙병원과 '웨이메드 엔도' 공급과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 에이아이포펫: 반려동물AI 솔루션 기업 에이아이포펫이 'Qorus Innovation in Insurance Awards’에서 Insurtech 부문 실버상을 수상했습니다. |
|
|
📖
📢 <스타트업 일본 진출 가이드>에서는 우리 기업이 일본에 진출하면서 활용해야 할 일본 지식재산권 제도, 특히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및 저작권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합니다.
실무상 특허, 상표, 디자인, 저작권 업무는 일본에서 적법한 자격을 보유한 법률대리인을 통해서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본 가이드는 일본의 지식 재산권 제도 주요 사항들에 대한 기초 정보에 불과하므로 개별 사무의 법률적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없음을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
|
|
🇯🇵 일본 저작권,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일본에서 창작한 콘텐츠가 무단 사용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특허, 상표, 디자인과 달리 등록 없이도 보호되는 권리, 바로 저작권입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일본 저작권 제도의 개요와 등록·행사 방법을 간결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저작권이란?
일본 저작권법이 보호하는 ‘저작물’이란 “사상 또는 감정을 창작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문예, 학술, 미술, 음악 등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신문기사나 소설같은 언어저작물부터, 음악과 연극같은 공연저작물, 그림, 사진, 영화, 그리고 소프트웨어 등의 프로그램 저작물까지 다양한 형식이 존재하는데,
중요한 점! 저작권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창작성’이 필수입니다. 즉, 단순한 아이디어나 사실이 아니라, 창작자의 독창적인 표현이어야 합니다. 아이디어 자체는 저작권이 아닌 특허제도를 통해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 등록 없이도 보호받는다!
저작권은 창작과 동시에 자동 발생합니다. 특허나 상표처럼 등록이 필수는 아니지만, 분쟁 시 권리 증명을 위해 등록이 유리합니다.
📝 등록 가능한 주요 항목
등록은 일본 문화청 산하 ‘저작권사무소(JCO)’에서 가능하지만, 프로그램 저작물은 별도기관인 ‘일본소프트웨어정보센터’에서 등록을 관리합니다. 등록 가능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어떤 권리가 생기나요?
✅ 1) 저작인격권 (저작자의 인격을 보호)
💰 2) 저작재산권 (경제적 권리)
-
복제권: 복사, 인쇄 등 재생산 권리
-
상연/연주/상영권: 공연이나 영화 상영 권리
-
공중송신권: 방송, 인터넷 등 송출 권리
-
구술권/전시권/배포권/양도권/대여권: 다양한 방식으로 공개하거나 유통할 권리
-
번역/번안권: 다른 언어나 형태로 변형할 권리
-
2차적 저작물 이용권: 2차 창작에 대한 통제 권리
⚖️ 침해 시 어떻게 대응하나요?
누군가 저작권을 침해하면, 일본 법원에 소송을 제기해 저작권 침해 금지 및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일본에서도 저작권은 등록 없이 자동 발생하고, 창작자의 창의적 표현을 폭넓게 보호합니다. 디지털 콘텐츠를 해외로 확장하려는 기업이라면, 일본 저작권 제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
4F, Startup Campus Building #3, 20, Pangyo-ro 289, Bundang, Seongnam, Korea 13488
You are receiving this email because you have visited our site or asked us about regular newslette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