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6. 13. | Vol. 25-22 | 📬구독하기 |
|
|
태국 경제특구 NEC 연수단 방문, 상호 협력 방안 논의
- 비침습 저온 플라스마 기반 기술 泰 스타트업, 솔루션 소개 |
|
|
태국 특별경제구역 'Northern Economic Corridor'(NEC) 연수단이 6월 9일 GDIN을 방문, 혁신 기술 기업간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이번에 방한한 연수단은 NEC의 기술창업 허브 역할을 하고 있는 치앙마이 대학교 과학기술원(Science and Technolgy Park) 창업지원 담당자들과 과학기술원의 지원을 받아 창업한 4개 스타트업 대표들로 구성되었습니다. NEC는 태국정부의 지역개발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5개 특별경제구역중 하나로 혁신 기술 산업 육성과 인력 양성을 통해 지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김종갑 대표는 "판교 테크노밸리를 조성할 때 실리콘 밸리를 모델로 했지만, 결국 우리 사정에 맞게 변모하게 되었다"면서 "실리콘 밸리가 유일한 정답은 아니며, 자국의 사정을 고려해야 혁신 생태계를 성공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방문에는 비침습 저온 플라스마 기술을 활용해 의료분야와 농업분야에서 혁신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는 4개 태국 스타트업(▲PlasOne, ▲ModernPlas Corporation, ▲Nightingale, ▲Grow Cap)들이 자사의 솔루션을 발표했습니다. 장석진 사업본부장은 GDIN의 '기술기반 합작법인 설립 지원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국내 기업과의 기술 매칭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해볼 것을 제안했습니다. |
|
|
"앞으로 5~10년 안에 AGI 달성할 수 있을 것"
- 구글 DeepMind CEO 데미스 하사비스가 말하는 AGI 미래 |
|
|
DeepMind의 공동창업자이자 AI분야의 세계적 인물인 DeepMind CEO 데미스 하사비스가 최근 Wired와 인터뷰를 갖고 AGI의 도래와 그에 따른 기술적·사회적 변화에 대한 견해를 내놓았습니다. 인터뷰의 핵심 내용을 요약해 소개합니다.
⏳ AGI, 얼마나 가까운가?
-
"지능을 해결한 뒤, 그 지능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한다"는 철학 아래 DeepMind를 설립, 20년을 목표로 했고 현재 15년 차.
-
“앞으로 5~10년 안에 AGI 달성 확률이 50% 정도”로 전망하지만, 현재의 LLM에는 추론, 계획, 기억, 일관성 등에서 여전히 한계가 존재함.
🌍 경쟁과 리스크: 누가 AGI 우위를 가져갈까?
-
일부 전문가들은 AGI를 먼저 달성한 국가나 기업이 적은 시간차로도 ‘압도적인 우위’를 가질 것이라 경고.
-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지만, "점진적 발전이 될 수도 있다”며 유보적 답변.
-
중요한 점은 AGI 시스템이 개발자와 문화의 가치관을 반영하기 때문에, 국제적 규범 협의가 필요하다고 강조.
🛡️ AGI의 위험: 두 가지 핵심 우려
-
악용 가능성: 범용 AI 기술이 악의적인 개인이나 국가에 의해 재사용될 위험.
-
기술 자체의 위험: 강력해지는 AI가 통제 불가능해질 경우의 잠재적 위험.
🛠️사이버 보안, 제어 가능성, 해석 가능성 등의 연구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
📜 규제의 필요성과 국제 협력
-
“스마트한 규제는 필수이며, 특히 국제적 협력이 중요하다.”
-
국가별 규제로는 디지털 AI의 전 지구적 확산을 막기 어렵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동의 규범이 필요함.
💼 노동 시장에 미칠 영향
-
현재까지는 AI가 일부 분야에서 과학자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정도.
-
향후 5~10년 간 AI 도구들이 인간의 창의성과 생산성을 크게 끌어올릴 것.
-
“AGI 시대에도 인간 특유의 감성적·공감적 노동(예: 간호)은 대체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
🎓 청년들에게 전하는 조언
-
“AI 시대에 뛰어난 생산성을 가지려면 도구에 능숙해지는 것이 핵심.”
-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교육과 함께 AI 활용 역량(프롬프트 작성, 시스템 튜닝 등)을 갖출 것을 권장.
🚀 20~30년 후, AGI가 만드는 미래는?
💸 자본주의와 AGI: 함께 갈 수 있을까?
하사비스는 AGI가 인류에게 엄청난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동시에 신중한 준비와 국제적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합니다. 기술만능주의가 아니라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할 때 인류의 미래는 달라질 것입니다.
20분 정도의 분량에 영문 자막도 제공되니 전체 영상을 보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
|
|
"중국기업 Transsion, 아프리카 EV 시장 진출 가속화"
- 스마트폰 시장 장악한 전략으로 EV 시장에 접근 |
|
|
아프리카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한 중국 기업 Transsion이 이번엔 아프리카 전기차시장을 노리고 있습니다.
📱 스마트폰 왕좌 → 🛵 전기 이륜차로 확장
🎯 트랜션의 EV 시장 전략
🧩 스마트폰과 동일한 '현지화 플레이북' 적용
- 스마트폰처럼 유연한 결제 옵션, 합리적 가격 제공
🏭 수직 통합 모델
- 제조 → 유통까지 자체 운영으로 원가 절감 실현
🔋 배터리 서비스(BaaS)
- 교체형 배터리 + 충전소 임대 모델 확장 중
🤝 파트너십 다변화
- 금융사·물류사·지방정부와 협업 강화
🧠 소프트웨어 제공
- EV 운영 기업 대상 자산·운영 관리 솔루션도 함께 제공
🚧 도전 과제도 만만치 않다
⚖️ 국가별 규제 환경 대응 필요
🏗️ 충전 인프라 구축이 핵심 병목
🧭 기존 시장 강자들과의 경쟁 심화
🔍 주목할 이유?
✅ '소비자 니즈 최적화', 스마트폰 시장진출 전략을 EV 시장에도 성공적으로 전이 ✅ 정부 대상 수주를 통해 시장 신뢰 + 안정적 수익 확보 ✅ EV 전략도 단순 판매가 아닌 플랫폼화 추구 |
|
|
🚀 딥엑스 : AI 반도체 기업 딥엑스가 지능형 에지용 소프트웨어 기업 윈드리버와 온디바이스 AI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 공동 개발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 에버엑스 :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에버엑스가 일본 스미토모생명이 운용하는 '스미세이 이노베이션 펀드'를 통해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 휴레이포지티브 :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휴레이포지티브가 생명과학 분야 액셀러레이터 Xlife Sciences AG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
|
|
📖
📢 <스타트업 일본 진출 가이드>에서는 우리 기업이 일본에 진출하면서 활용해야 할 일본 지식재산권 제도, 특히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및 저작권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합니다.
실무상 특허, 상표, 디자인, 저작권 업무는 일본에서 적법한 자격을 보유한 법률대리인을 통해서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본 가이드는 일본의 지식 재산권 제도 주요 사항들에 대한 기초 정보에 불과하므로 개별 사무의 법률적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없음을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
|
|
일본에서 상표를 등록하고 권리를 지키는 방법
일본 시장에 진출하거나 일본 내에서 브랜드를 보호하려면 상표 등록이 꼭 필요합니다. 이번 편에는 일본에서 상표를 어떻게 검색, 출원·등록하고, 등록 후에는 어떻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 1. 일본 상표 검색 – 먼저 선행 상표부터 확인하세요!
상표를 등록하려면, 먼저 다른 사람이 이미 비슷한 상표를 등록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선행 상표 검색이라고 합니다.
-
✅ 전문가에게 맡기는 방법 일본의 변리사나 변호사에게 의뢰하면 정확한 검색과 분석을 받을 수 있어요.
-
🔍 직접 검색도 가능해요 비용 부담이 있다면, 일본의 공식 검색 사이트 J-PlatPat에서 직접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 J-PlatPat 바로가기
💡 직접 검색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에게 상담하면 더 효과적이에요!
📝 2. 상표 출원과 등록 – 절차는 이렇습니다
① 출원 준비
상표를 사용할 상품이나 서비스를 정하고, 상표 출원서를 작성해 일본특허청에 제출합니다. 일본의 규정이 까다로워서, 보통은 "등록된 대리인(변리사 등)"을 통해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심사 및 공개
③ 거절 사유가 있다면?
심사관이 문제를 발견하면 "거절 이유"를 통지합니다. 이 경우, 의견서를 제출하거나 출원 내용을 고쳐서 반박할 기회가 주어집니다.
④ 등록 결정
문제가 없거나 거절 사유를 해소하면, 등록 결정 통지가 옵니다. 30일 안에 등록료를 내면 정식 등록이 완료되고, 상표 등록증이 발급됩니다.
⏳ 3. 등록 후에는 어떻게 관리할까요?
-
등록된 상표는 10년 동안 보호받습니다.
-
10년 단위로 연장이 가능하며, 연장할 때마다 등록료를 내야 합니다.
-
납부기한을 놓치면 6개월까지 할증 등록료로 추납할 수 있지만, 그 이후엔 상표권이 소멸합니다.
⚖️ 4. 등록 후 권리 행사 – 침해 대응과 라이선스
등록 상표는 지정된 상품·서비스에 대해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 누가 침해하면?
🤝 라이선스를 주고 싶을 땐?
일본 상표 등록은 특허등록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기본적인 흐름과 주의사항만 잘 알면 큰 문제없이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음 회차에서는 상표권만큼이나 중요한 디자인권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
|
|
4F, Startup Campus Building #3, 20, Pangyo-ro 289, Bundang, Seongnam, Korea 13488
You are receiving this email because you have visited our site or asked us about regular newslette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