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14. | Vol. 25-10 | 📬구독하기 |
|
|
"2025년 AI 시장, 새로운 강자들이 떠오른다"
- Poe 보고서가 분석한 AI 사용 트렌드 |
|
|
2025년 AI 시장은 새로운 기업들이 급부상하며 기존 강자들의 독점을 깨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여러 인공지능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Poe 플랫폼에서 100개 이상의 AI 모델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요 변화를 정리한 보고서를 발행했습니다. 주요 내용을 소개드립니다.
📌 구글, AI 성과 엇갈려
- 이미지 생성: Imagen3(30%), 비디오 생성: Veo-2(40%) 선두
- 텍스트 AI Gemini 모델 점유율 하락
→ 한 분야의 성공이 전체 성과로 이어지지는 않아
📌 비디오 AI, 치열한 경쟁 속 급성장
- 2024년 말 등장 후 빠르게 8개 이상 모델 경쟁 중
- Runway(30~50%) 유지, 구글 Veo-2 단기간 40% 점유
- 중국 AI 모델들(15%)도 빠르게 시장 확대 중
📌 이미지 AI 시장의 판도 변화
- Black Forest Labs의 Flux 모델(40%), DALL-E 3·Stable Diffusion보다 앞서
- 구글 Imagen3도 30% 점유율 확보하며 성장세
📌 새로운 AI 모델이 빠르게 기존 모델 대체
- GPT-4 → GPT-4o, Claude-3 → Claude 3.5 … 신모델 출시 시점마다 기존 모델 사용량 급감
→ AI 기업들, 오래된 모델 유지보다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전략 필요
📌 텍스트 AI 시장, 독점 구조 흔들리나?
- OpenAI & Anthropic이 85% 점유, 하지만 DeepSeek 단기간 7% 확보
- 새로운 경쟁자들이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 변화 가능성↑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AI 시장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AI 시장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항상 트렌드에 주목하세요! |
|
|
"AI, 과학 혁신의 주역이 될 수 있을까?"
- 허깅페이스 공동설립자 토마스 울프, AI의 혁신성에 의문 제기 |
|
|
인공지능 개발자들을 위한 커뮤니티라 할 Hugging Face의 공동설립자이자 최고과학책임자 토마스 울프(Thomas Wolf)가 AI가 과학 발전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낙관론을 반박하는 에세이 'The Einstein AI model'를 발표했습니다. '인공지능'만이 아닌 '지(적)능(력)' 자체에 대한 고민거리를 던져주는 흥미로운 내용이라 소개합니다.
🔍 AI,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까?
이 에세이의 주된 반박대상은 Anthropic의 다리오 아모데이(Dario Amodei)의 '압축된 21세기'(Compressed 21th)로 대변되는 낙관론입니다. AI가 초인적인 속도와 지능으로 과학 발전을 가속화하고 지금의 방식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이뤄낼 것이라는 기대말입니다.
하지만 토마스 울프는
✅ 현재 AI는 이미 답이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고, ✅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가 부족하여 과학 혁명을 일으키기에는 부족하며, ✅ 기존 벤치마크는 정답을 따르는 AI를 우대, 결과적으로 순종적 우등생을 양산할 뿐이라고 비판합니다.
그는 AI가 단순한 문제 해결을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지를 물어야 한다면서, ✔ 현재의 훈련 방식과 목표를 재고하고 ✔ AI 투자와 개발 전략도 AI의 잠재력과 한계를 균형 있게 고려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인공지능에도 천재와 수재를 가르는 벽이 존재하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
|
|
"American Dynamism 50, 미-중 갈등의 미래를 결정한다"
- Andreessen Horowitz, 미국의 대중 억지력 위한 50개 기술기업 발표 |
|
|
중국과 미국의 갈등이 전방위적으로 커져가고 있습니다. 미중 갈등이 격화되고 군사적 충돌로 이어진다면, 세계 경제는 막대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 대형 VC인 Andreessen Horowitz에서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강력한 억지력만이 중국의 확장정책을 막을 수 있다면서 미국 기술기업 50곳을 꼽았습니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회도 될 수 있기에 간략히 소개합니다.
📌 억지력 & 방위 기술 대만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할 경우, 미국은 방어를 위해 신속히 움직여야 하지만, 넓은 작전 거리와 취약한 보급망이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Castelion – 극초음속 미사일로 장거리 타격력 강화 🔹 Anduril – AI 기반 드론 및 감시 타워로 전장 인식력 향상 🔹 Shield AI – V-BAT 드론으로 전자전 대응 🔹 Saronic – 자율 해상 선박으로 해상 분쟁 방지 🔹 Skydio – 실시간 정찰 가능한 AI 드론 제공
📌 제조업 혁신 중국의 대만 침공이 현실화되면 공급망 붕괴로 반도체를 중심으로 산업 전반에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미국 내 제조업 역량 강화가 필요합니다. 🔹 Hadrian – 자동화 정밀 가공 기술로 방위산업 핵심 부품 생산 가속화 🔹 Re:Build – 첨단 공장을 통한 제조업 재건 🔹 Galvanick – 산업 사이버 보안 플랫폼으로 제조업 회복력 강화 🔹 Solugen – 친환경 화학 생산으로 필수 소재 국내 공급
📌 공급망 안정화 대만 해협에 분쟁이 발생하면 글로벌 교역이 마비될 수 있습니다. 기술을 활용하면 공급망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Saronic – 자율 선박으로 새로운 해상 운송 경로 개척 🔹 SpaceX, Astranis – 위성 네트워크로 공급망 통신 유지 🔹 Umbra – SAR 위성을 이용한 대체 경로 탐색 및 물류 재조정
📌 에너지 안보 강화 중국의 무력도발은 에너지 공급 중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미국은 에너지 독립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Radiant – 소형 원자로로 주요 인프라 및 군사기지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 🔹 Base Power –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으로 위기 대응력 강화
Andressen Horowitz가 지목한 50개 기업을 모두 보시려면 원문을 확인하세요. |
|
|
🚀 트위니 : 트위니가 공장·시스템통합(SI) 기업을 위해 자율주행 로봇을 구축하고 운용할 수 있는 솔루션 TCS를 출시했습니다.
🚀 랩앤피플 : 바이오 신소재 기업 랩앤피플이 일본 최대 유통기업 팔텍과 손잡고 ‘스노우투플러스’의 일본 오프라인 시장 판매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 메디씽큐 : 헬스케어 스타트업 메디씽큐가 124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
|
|
📖
📢 <스타트업 미국 진출 가이드>에서는 한국 스타트업 기업이 미국에 진출할 때에 알아두면 유용한 미국 지식재산권 제도에 관하여, 특히 미국의 특허권, 상표권 및 저작권을 중심으로 알아봅니다.
실제 미국의 특허상표청(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이하 “USPTO’) 및 법원에 대한 특허, 상표 및 저작권 업무는 미국에서의 적법한 라이선스를 보유한 법률대리인을 통해서 절차를 진행해야 할 것이며, 본 연재에서는 절차상 또는 세부 규정상 지나치게 복잡한 내용이나 학술적인 내용에 대한 서술은 지양하고, 한국의 스타트업 기업들이 미국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강인한 IP 권리를 취득하고 행사하기 위하여 알아두면 바람직한 주요 사항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
|
|
(8) 미국 상표권 권리행사
만일 타인이 무단으로 상표권자의 등록상표를 지정 상품/서비스에 관해 상업적으로 사용하여 상품/서비스의 출처나 후원관계에 관해 소비자의 혼동 가능성(likelihood of confusion)이 있다면 상표권 침해가 성립하며, 상표권자는 미국 법원에 그 상표 침해 행위에 대한 소송을 제기함으로써 상표 침해의 금지, 금전적 손해배상, 그리고 변호사 비용 배상 등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금전적 손해와 관련하여서는 침해자의 악의적인 침해 행위(willful infringement)에 대하여 법원은 인정된 손해액의 3배까지 손해배상액을 가중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경우 변호사 비용은 규칙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패소자 부담이 원칙이지만, 미국의 경우 각자 부담이 원칙이며, 다만 법원은 피고의 악의적인 침해행위가 있는 등의 예외적인 사건에서 패소자가 승소자가 지출한 합리적인 변호사 비용을 배상하도록 명령할 수 있습니다.
(9) 미국 저작권 개요
미국에서 저작권은 연방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며, 책, 연극, 음악, 가사, 그림, 조각, 비디오 게임, 영화, 음원 및 소프트웨어와 같은 어문 저작물, 연극 저작물, 음악 저작물 및 예술 작품 등이 보호 대상 저작물로 포함됩니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는 어문 저작물(Literary Works)로서 보호될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려면, i) 저작물이 "실재 표현 매체(tangible medium of expression)"에 고정(Fixation)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어문 저작물은 책에, 음악 저작물은 악보나 디지털 파일에, 시각적 예술 작품은 캔버스에 각각 고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 되기 위해서는 ii) 독창성(Originality)이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독창성은 독자적으로 창작(independent creation)된 것이고 또한 최소한의 창작성(minimum degree of creativity)이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작권의 발생과 소유에는 신청이나 등록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술한 독창성이 있는 저작물을 고정시켜 창작하였을 때 저작권은 발생하여 자동으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라 저작권자는 저작물을 복제, 2차저작물 작성, 배포, 공개 공연 및 공개 전시할 수 있는 배타적 권리를 가지며, 타인에게 이를 허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음원의 경우 저작권자는 디지털 오디오 전송을 통해 저작물을 공개 공연할 수 있는 권리를 갖습니다. 이러한 저작권의 배타적 권리는 자유롭게 양도할 수 있으며 라이선스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저작권은 아이디어의 표현을 보호할 뿐 아이디어 자체를 보호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작권의 보호는 표현에 있어서 저작자가 작품에 기여한 독창적인 요소에만 적용되고, 아이디어 자체를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는 없습니다.
아이디어에 있어서의 발명이나 발견은 특허를 통해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미국 저작권의 등록과 고지, 행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스타트업의 미국 진출 가이드 - 미국 지식재산권 제도>는 격주 금요일에 연재됩니다. 다음편의 연재일자는 3월 21일(금)입니다. |
|
|
4F, Startup Campus Building #3, 20, Pangyo-ro 289, Bundang, Seongnam, Korea 13488
You are receiving this email because you have visited our site or asked us about regular newslette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