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28. | Vol. 24-26 | 📬구독하기 |
|
|
"초기 기술기업들이 참여할 공공 프로젝트들을 늘려야"
- GDIN, SelectUSA Investment Summit 2024에 참가 |
|
|
GDIN은 6월 23일부터 6월 26일까지 미국 메릴랜드주 National Harbor에서 열린 SelectUSA Investment Summit에 참여했습니다. 이번 SelectUSA 행사에는 스마트레이더시스템, 세이프웨어, 비주얼캠프, 레티투, 코드프레소, 큐브세븐틴, 마린이노베이션, 텔레픽스 등 우리 혁신 기술 기업 7개사 대표들이 동행했습니다.
6월 23일 개막행사에서 김종갑 대표는 미 상무부 Arun Venkataraman 차관보와 만나 한국 기술 기업들을 위한 SelectUSA 프로그램 마련 등 미국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했습니다. 24일 미국 현지 고위 공무원, 투자자, 엑셀러레이터, 기업가 등을 초청하여 개최한 'DX Tech Night' 행사에서는 이번 SelectUSA에 동행한 스마트레이더시스템, 세이프웨어, 비주얼캠프, 레티투, 코드프레소, 큐브세븐틴, 마린이노베이션, 텔레픽스의 기업 소개가 있었습니다. Andrew Gately 미 상무부 선임상무관은 인사말을 통해 한미간 기술 협업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하는 기업들이 많아지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6월 25일에는 기업 대표들과 함께 Joe Lombardo 주지사를 비롯한 네바다주 대표단과 만나, 우리 혁신 기술 기업들의 미국 진출 지원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김종갑 대표는 자본 등 리소스가 부족한 초기단계 기술기업들이 미국 진출로 성장 동력을 얻으려면, 주정부에서 초기 기술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공 프로젝트들을 발주하는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Lombardo 주지사는 네바다주는 재생에너지와 청정기술 분야에 관심이 높다면서, 이 분야의 한국 기술 기업들이 네바다주를 기반으로 삼는다면 미국 시장 진출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 답했습니다.
GDIN이 SelectUSA에 우리 기술 기업들과 함께 참여한 것은 작년에 이어 올해로 두번째입니다. |
|
|
🚀이큐브랩 : 친환경 쓰레기 수거∙관리 전문 스타트업 이큐브랩이 2020년 북미 시장에 런칭한 폐기물 수거 플랫폼 하울라(Haulla)가 올해 6월 기준 월 매출 10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로킷헬스케어 : AI 초개인화 장기재생 플랫폼 기업 로킷헬스케어의 'AI 피부재생 플랫폼'이 영국 의약품·보건의료제품규제청(MHRA)에 의료기기 등록을 완료했습니다.
🚀한패스: 한패스가 베트남 국영 상업은행인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과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고 해외 송금 서비스 및 QR 결제 등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
|
|
[머니투데이 X GDIN]이 함께하는 "글로벌 진출 패스트트랙 아카데미" |
|
|
‘머니투데이’와 ‘GDIN’이 해외진출과 상장을 희망하거나 준비하는 기업들을 위해 해외법률, 해외특허, 기업 상장, 회계, 온라인 홍보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원데이로 가장 빠르게’ 배울 수 있는 ‘패스트트랙’ 교육을 실시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행 사 명 : 머니투데이 x GDIN 글로벌 진출 패스트트랙 아카데미
📌 일시/장소 : 2024. 7. 13(토) 10:00~18:20 / 서울 강남구 코엑스 컨퍼런스룸 327호
📌 교 육 비 : 인당 66만원(부가세 포함, 계좌이체)
📌 지원 사항 : 코엑스 당일 주차권 제공(1인 1매), 점심 도시락, 커피, 다과 제공
📌 신청 마감 : 2024. 7. 11(목) 까지
|
|
|
📖
📢 <스타트업의 미국 진출 가이드>에서는 현지 법인 설립에 필요한 절차와 유의사항 등 알아두면 좋은 기본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기업 법인 등록의 중심지로 알려진 델라웨어주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 본 가이드는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구체적인 상황에 맞춘 전문적인 조언이 필요하다면 반드시 법무법인의 상담을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 |
|
|
🏢 미국 법인의 형태는 크게 C Corporation, S Corporation, LLC(Limited Liability Company)로 구분됩니다. 먼저 S Corporation은 주주가 100명 이하의 미국 시민이거나 미국 거주자여야 하므로 한국 스타트업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한 LLC의 형태는 유한책임회사로 소유주의 채무가 제한되는 장점은 있으나, 주식 발행이 불가하므로 투자를 고려하는 회사에게는 적합한 법인 형태가 아닙니다. 결국 가장 일반적인 주식회사 형태인 C Corporation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에 법인을 설립하는 경우 어떤 주(State)에서 법인을 설립할지에 대한 결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50개 주 중에서 델라웨어 주에 설립하시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왜 델라웨어 주 인가?
델라웨어 주는 회사법에 특화된 전문 법원(the Delaware Court of Chancery)이 있고 법원의 전문적인 판결로 인한 안정된 회사법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델라웨어 주 회사법(Delaware General Corporation Law, 이하 ‘DGCL’)은 예측가능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며, 이의 해석에 대한 판례가 많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질의 정보를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Fortune 500 중 64%와 미국의 상장사 중 50% 이상이 미국의 50개 주 중에서 두 번째로 가장 작은 주에 해당하는 델라웨어 주에 법인을 설립하였다고 합니다.
투자자도 DGCL의 적용을 받음으로써 다른 주 회사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이미 잘 알고 있고 익숙한 DGCL의 적용을 받는 델라웨어 법인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벤처투자를 받고자 하는 창업가들은 법인 설립지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보통 델라웨어 주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델라웨어 주에 법인을 설립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
|
4F, Startup Campus Building #3, 20, Pangyo-ro 289, Bundang, Seongnam, Korea 13488
You are receiving this email because you have visited our site or asked us about regular newslette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