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6. 21. | Vol. 24-25 | 📬구독하기 |
|
|
"한국 펫 테크 기업들, 기술 수준 높아..."
- Hill's Pet Nutrition, Plug and Play와 펫 테크 스타트업 Meet-Up |
|
|
GDIN의 글로벌 파트너이나 Plug and Play와 미국 펫 전문사료 기업 Hill's Pet Nutrion이 재단을 방문, 펫 테크 기업들과 Meet-Up 행사를 열었습니다.
Hill's Pet Nutrion은 올해로 설립 107년이 된 유서 깊은 기업으로 미국의 다국적 소비재기업 Colgate-Palm Olive의 자회사이기도 합니다. Hill's는 수의사 처방 사료 등 반려동물의 질병 치료와 예방에 특화된 사료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이날 Meet-Up 행사에는 Hill's 혁신진흥센터의 Jennifer Mitchell 팀장, Susan Wernimont 팀장, Rachel Van Pelt 선임 매니저, 그리고 힐스코리아 법인장 Rohit Kapoor가 참여했으며, Plug and Play 측에서는 식음료 분야 팀장 Robert Grey, 에그테크와 동물헬스케어 분야 팀장 Lindsay Lebahn이 참가했습니다. Meet-Up 행사에 앞서 장석진 본부장은 GDIN의 혁신 기술 기업 지원 프로그램 등을 소개하고, 대한수의사회와 함께 '반려동물산업육성협의회'를 결성 펫테크 기업들을 위한 IR-Day를 개최하면서 바이오헬스케어와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 유망한 펫 테크 기업들을 발굴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Jennifer Mitchell 팀장은 한국 펫 테크 기업들의 잠재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면서, 혁신 기술을 보유한 유망한 초기 기업들을 발굴하고 투자, 브랜딩, 기술협력 등 동반성장하는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맺는 것이 Hill's의 원칙이라고 말했습니다.
|
|
|
챗봇 서비스 도입, 챗으로 바로 업무담당자 연결
- 한국어, 영어, 일어 등 다국어 서비스로 제공, 간단한 문의는 챗봇이 자동 답변 |
|
|
GDIN은 우리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해외 진출과 관련한 각종 컨설팅 서비스와 글로벌 전시회 참가 지원, 해외 기업과의 테크 매칭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이든 중소 중견기업이든 글로벌 시장에 통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해외 진출에 관심이 있다면 언제든 GDIN의 문을 두드리시면 됩니다. 또한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할 혁신 기술 파트너들을 찾는다면, 그 역시 GDIN의 문을 두드리면 됩니다.
GDIN은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응대하기 위해 인공지능 챗봇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GDIN 홈페이지 오른쪽 하단에 로봇 아이콘이 항상 떠 있으면서 여러 분과의 대화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담당자 이름을 알지 못해서, 전화번호를 알지 못해서, 혹은 그저 용기가 없어서 연락을 주저하셨다면, 편하게 챗봇 서비스를 이용해주세요.
GDIN의 챗봇서비스는 센드버드의 '세일즈커넥트' 기반으로 GDIN이 CRM으로 사용하는 세일즈포스와 연동되어 담당자와의 빠른 연결과 정확한 답변이 가능합니다. GDIN은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 글로벌 진출 지원과 관련한 기본적인 물음들은 챗봇이 바로 답변할 수 있도록 시트템을 지속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
|
|
🚀노타 : AI 경량화 솔루션 기업 노타가 300억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 라운드를 마무리했습니다. 노타의 누적투자유치 규모는 약 532억원입니다.
🚀로킷헬스케어 : AI 초개인화 장기 재생 기업 로킷헬스케어가 올해 상반기 영국, 발칸반도 7개국, 불가리아 등 유럽 판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총계약 규모는 5년간 약 566억 원입니다.
🚀위닝아이: 위닝아이가 KB손해보험과 비접촉 지문인식 솔루션 사용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라이선스 계약으로 손해보험사 7개사, 생명보험사 2개사와 계약을 완료했습니다. |
|
|
DX Tech Night : SelectUSA Investment Summit |
|
|
🌍GDIN과 한국의 디지털 및 기술 스타트업 대표단이
SelectUSA Investment Summit에 참가합니다!
📅 일정 : 2024년 6월 23일 ~ 26일 📍 장소 : 미국 워싱턴 D.C. Gaylord National Resort and Convention Center
SelectUSA Investment Summit(👈궁금하면 클릭) 미 상무부가 주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행사로, 전 세계의 기업들과 미국 전역의 경제 개발 기관들이 모여 외국인 직접 투자(FDI)를 홍보하는 자리입니다. 올해도 작년에 이어 성공적인 서밋 참여를 기대하며 코드프레소, 레티투, 마린 이노베이션, 세이프웨어, 스마트 레이더 시스템, 비주얼캠프, 쿼브 등 총 7개의 뛰어난 한국 기술기업이 함께 할 예정입니다.
✨특히 행사 첫날 저녁에는 'DX Tech Night'가 열립니다. DX Tech Night은 한국의 유망한 디지털 및 기술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 특히 미국으로의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GDIN은 한국의 혁신적인 디지털 및 기술 스타트업을 소개하고, 7개의 한국 대표단은 피칭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
|
|
정보 과잉의 시대에 우리에게 부족한 건 휘발적 지식이 아닙니다. 때로는 긴 흐름을 두고 살펴봐야 할 문제들이 있습니다.
'매일경제'에서 IT기자로 30년간 기술 트렌드와 창업 생태계를 살펴왔던 GDIN 유진평 전문위원이 급박한 시대 흐름 속에서 우리가 붙잡고 들여다봐야 할 미래 기술들과 혁신기업들을 다룬 책들을 소개합니다. |
|
|
이 주에는 미래 첨단산업이자 성장산업으로 재조명받고 있는 농업을 다룬 책 “농업, 트렌드가 되다”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책은 국내외 농업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혁신 사례들을 기술하면서, 우리 농업과 축산업의 변화를 ‘디지털’, ‘혁신’, ‘미래산업’, ‘일상’이라는 4가지 키워드로 짚어 가고 있습니다.
책에서 소개하는 우리 농업의 대표적 혁신 사례들을 꼽아보자면, ‘넥스트온’은 LED기술과 공조기술, ICT 기술을 접목해 경부고속도로의 방치된 옥천터널을 세계 최대 규모 버티컬팜으로 탈바꿈시켜, 고급채소류와 딸기,바이오 소재용 작물을 재배하고 있습니다. 지하철 역사나 버려진 지하상가 등 도심 지하를 농장으로 바꾸는 사례도 있습니다. 국내 최초로 수직농장을 도입한 ‘팜에이트’는 5개 지하철역사에 메트로팜을 운영, LED조명과 수경재배로 샐러드용 채소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동원그룹이 운영하는 비닐하우스는 여름철 폭염에도 채소 재배에 적합한 수준으로 내부 온도를 낮추는 스마트 팜으로 여름에도 채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보통 상추류는 한 여름에는 재배가 어려워 가격이 폭등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그런데 동원이 운영하는 농헙회사법인 어석은 여름철 폭염에도 상추 재배에 적합한 수준으로 내부 온도를 낮추는 기술을 확보했다. 또한 이렇게 확보한 다양한 재배기술을 계약농가에 아낌없이 제공하고, 해당 농가가 생산한 작물을 함께 유통까지 대행해주는 등 기업·농가 스마트팜 상생모델을 만들어 주목받고 있다.
매년 초 혁신기술을 선보이는 CES에서도 농업은 중요한 테마입니다. 2022년 CES의 주 키워드중 하나는 ‘푸드테크’였고, 2023년에는 글로벌 농기계업체 존디어의 회장이 기조연설을 맡았을 뿐 아니라 자율주행 트랙터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식물성 고기 등 대체식품들은 전통축산업의 대안으로 소비자 뿐만 아니라 투자자들의 관심도 받고 있습니다. 저자는 우리나라 농업생산액 40%를 점하는 축산업이 이러한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다면 농업경제의 근간의 흔들릴 것이라 경고합니다.
저자들은 농업과 노인돌봄을 결합한 네덜란드의 케어팜(Care Farm) 사례를 제시하면서 고령화 문제에 대한 농업적 해법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과거 농업의 핵심은 경험과 노하우였다면, 지금의 농업은 데이터와 AI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농업이 규모의 경제로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기는 어렵지만, 데이터와 AI 등 혁신기술로 무장한 '디지털 강소농'으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저자들의 생각인 듯 합니다. |
|
|
4F, Startup Campus Building #3, 20, Pangyo-ro 289, Bundang, Seongnam, Korea 13488
You are receiving this email because you have visited our site or asked us about regular newslette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