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13. | Vol. 24-49 | 📬구독하기 |
|
|
Ignite Sweden과 JV Tech Meetup 행사 열어
- 한국, 스웨덴 혁신 기술 기업들간 공동 사업 가능성 모색 |
|
|
GDIN은 스웨덴의 스타트업 육성기관 Ignite Sweden과 12월 9일 'Swedish JV Tech Meet-up'을 열었습니다. 이 행사는 한국과 스웨덴의 혁신적인 기술 기업들이 공동 사업 가능성을 모색하고 합작법인 설립 등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는 자리였습니다. 장석진 사업본부장은 참가 기업들의 IR에 앞서, GDIN의 조인트벤처 설립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조인트벤처 설립 성공사례를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밋업 행사에는 QUVE, 아티젠 스페이스, 에치에프알, 뉴라바디, 효돌, COLDIT 등 우리나라 기업 6개사, Ekkono Solutions, Scaleout, Epishine, Ebbot, Fifty, n-ink 등 스웨덴 기업 6개사가 참여했습니다. |
|
|
"글로벌 반려동물산업 시장의 스타 기업 만들어 낼 것"
- 대한민국 반려동물 문화대상에서 국회 산자위 위원장상 수상 |
|
|
GDIN이 뉴스1이 개최한 제6회 '대한민국 반려동물 문화대상'에서 반려동물 육성 협의회를 통해 기업설명회를 운영하며 반려동물 관련 스타트업 발굴에 앞장선 공로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위원장상을 받았다.
GDIN은 지난 3월 대한수의사회, 해마루반려동물의료재단, 뉴스1, 매경닷컴, 하나은행, 키움증권, 알엑스바이오 등과 반려동물 육성협의회를 결성, 글로벌 반려동물산업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유망 스타트업 발굴을 위해 노력해왔다. |
|
|
🚀오렌지바이오메드: 휴대용 당화혈색소측정기를 개발한 오렌지바이오메드가 시리즈A1 투자 라운드에서 약 30억 원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습니다.
🚀 핏투게더: 스포츠테크 기업 핏투게더가 2024년 FIFA 전자 퍼포먼스 및 추적 시스템(EPTS) 품질 프로그램 내 웨어러블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았습니다.
🚀더웨이브톡: AI 딥러닝 기반 수질측량 센서 전문 기업 더웨이브톡의 ‘정수의 탁도 및 미생물 고속 검출 기술’이 국가 신기술(NET) 인증을 취득했습니다. |
|
|
💌 2024 GDIN Year-End Party에 초대합니다. |
|
|
📢 GDIN이 올 한 해를 함께해주신 소중한 분들께 감사인사를 드리고 희망찬 내년을 기약하는 작은 연말파티에 여러분들을 초청합니다! 🤗
매년 한 해가 마무리되는 연말, 재단에서는 저희의 소중한 멤버사 및 파트너사, Alumni 등과 함께 한 해를 마무리하고 수고한 서로에 대한 격려와 네트워킹을 하는 파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업무로 바쁘시겠지만 소중한 발걸음 해주셔서 자리를 빛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2024 GDIN Year-End Party 📆 일시 : 2024년 12월 19일(목), 17:00 ~ 20:00
📍 장소 : 판교 스타트업캠퍼스 3동 3층 오픈스페이스(판교로289번길 20)
* 주차 3시간 무료등록 가능
📌 주요 프로그램
🔸17:00 오프닝 및 Joint Venture 설립 스토리 공유 🔸18:00 시상식 및 네트워킹 파티(케이터링 및 음료 제공)
|
|
|
정보 과잉의 시대에 우리에게 부족한 건 휘발적 지식이 아닙니다. 때로는 긴 흐름을 두고 살펴봐야 할 문제들이 있습니다.
'매일경제'에서 IT기자로 30년간 기술 트렌드와 창업 생태계를 살펴왔던 GDIN 유진평 전문위원이 급박한 시대 흐름 속에서 우리가 붙잡고 들여다봐야 할 사회경제적 문제, 미래 기술들, 그리고 혁신기업들을 다룬 책들을 소개합니다. |
|
|
르노코리아의 탄소중립 프로젝트 리더인 저자 이정원의 <자동차 자율주행 기술 교과서>는 자율주행 기술의 복잡한 메커니즘을 다양한 그림과 함께 쉽게 풀어내고 있습니다. 저자는 자율주행 기술이 단순 이동수단을 넘어 새로운 공간 활용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책에서 말하는 자율주행차량의 특징은 C(onnectivity), A(utonomous), S(hared), E(lectrical)로, 미래의 자동차산업의 중심은 Mobility as a Service 시대로 전망합니다. 무인 택배, 고령자 및 장애인의 이동 편의, 주차난 해소 등 자율주행이 가져올 사회적 이점 역시 언급하고 있습니다.
미국자동차공학회가 정의한 자율주행 기술의 5단계 중 현재는 레벨 3~4 수준에 있는데, 주요 기술로는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AEBS(자동긴급제동시스템), SCC(스마트크루즈컨트롤)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AEBS는 엑셀을 밟더라도 위급시 강제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장치로, 급발진을 방지하여 고령자의 운전 사고를 예방하는 데 기여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6년부터 AEBS가 의무화될 예정입니다.
센서 기술로는 라이다와 레이더, 그리고 카메라 기반의 영상 처리 기술이 논의됩니다. 테슬라와 구글 웨이모의 차별화된 기술 전략, 라이다의 발전 가능성, 그리고 카메라 기반 템플릿 매칭, 스테레오 카메라 등도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자율주행에서 중요한 경로 설정과 보행자 인식 기술도 설명됩니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HOG(히스토그램 기법) 같은 분석 기법, GPS의 한계를 보완하는 RNSS(QZSS, KPS) 등이 소개되며, 자율주행의 정밀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최신 기술 동향을 다룹니다.
국내에는 어떤 기업들이 자율주행 기술을 다듬고 있을까요? 책에서는 모라이(자율주행 디지털트윈 검증), 스트라드비전(자동차 카메라영상 AI분석), 서울로보틱스(라이다기반 자율주행 물류시스템), 카카오모빌리티(MaaS), 네이버랩스 (무인주행 셔틀), 포티투닷 (SW중심 자율차 셔틀), 마스오토(화물차 자율주행시스템) 등 한국 기업들의 활약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핵심 개념부터 최신 동향까지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유익한 가이드가 될 것입니다. |
|
|
4F, Startup Campus Building #3, 20, Pangyo-ro 289, Bundang, Seongnam, Korea 13488
You are receiving this email because you have visited our site or asked us about regular newslette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