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앞날을 예측하려는 어설픈 시도를 멈추고, 대신 결코 변하지 않는 것들에 집중하면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 문장은 모건 하우절의 “불변의 법칙”의 핵심 메시지를 간결하게 담고 있습니다.
“불변의 법칙”은 하우절의 전작 "돈의 심리학" 후속으로, 역사적 사건들과 인물들의 사례를 통해 더욱 튼튼한 논리를 전달합니다. 하우절은 예측 불가능한 미래에 대한 무의미한 시도보다는 변하지 않는 패턴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를테면 제프 베이조스는 10년 동안 무엇이 변할 것인지 묻는 것보다, 무엇이 변하지 않을 것인지 묻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하며, 아마존 고객의 저렴한 가격과 빠른 배송에 대한 욕구는 사라질 수 없다고 설명합니다.
저자는 특정 사건보다는 사람들의 행동패턴을 토대로 예측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고 강조합니다.그는 역사적으로 재앙이 발생하기 전에는 대부분 사람들은 그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다고 지적합니다. 따라서 예측할 수 있는 리스크에만 대비하는 것이 아니라, 예측하지 못한 리스크에도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또한, 하우절은 뛰어난 아이디어나 이론이 아니라 뛰어난 스토리가 승리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사람들은 감정적으로 쉽게 반응하고, 훌륭한 스토리가 차가운 통계보다 더 큰 설득력을 발휘한다고 합니다. 1963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I Have a Dream" 연설이 그 좋은 예입니다. 킹의 연설은 원래 계획된 대로가 아닌, 가스펠 가수 마할리아 잭슨의 요청에 의해 즉흥적으로 이루어진 유명한 연설이었습니다.
인간의 욕구와 감정도 경제와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통계와 계산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많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성공하는 사람은 이 세상이 불합리성과 혼란, 인간관계의 복잡성으로 가득 차 있음을 아는 사람입니다.
하우절은 인생의 중요한 요소로 인내심과 희소성을 강조합니다. 인내심은 성장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것이며, 희소성은 소중함을 느끼고 감사할 수 있는 요소라고 설명합니다. 혁신의 동력은 인센티브에서 비롯되며, 많은 기술이 군사적 필요에 의해 개발되었다고 지적합니다. 예를 들어, 레이더, 원자력, 인터넷, 제트기 등입니다. 하지만, 혁신보다는 끔찍한 재앙이 더 큰 관심을 받게 되는데, 혁신은 시간이 걸리고 대개 사람들은 그 과정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저자의 주장은 미래의 낙관적인 전망을 가지고도 예측할 수 없는 리스크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경제는 계속 발전할 것이라고 믿고 단기적인 좌절과 유혹을 견뎌내는 것이 부자가 되는 길이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