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9. 26. | Vol. 25-36 | 📬구독하기 |
|
|
“유럽 시장은 아직 멀게만 보였는데, 현지 파트너를 만나보니 가능성이 보였습니다.” 한 참가 기업 대표의 말처럼, 콘텐츠 분야 디지털 테크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일본 도쿄에 이어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연 이번 행사는 단순한 행사 이상의 의미가 있었습니다.
🤝 첫 만남의 설레임, 비즈니스로 이어질까?
행사에 참여한 10개 디지털 테크 기업들은 9월 16일과 17일 이틀 동안 분주하게 움직였습니다. 개별 맞춤형으로 준비된 1:1 미팅에서는 기업마다 관심 있는 현지 파트너들을 직접 만났고, 피칭 세션에서는 각자의 솔루션을 자신 있게 소개했습니다.
네트워킹 자리에서는 한국에만 있었더라면 예상치 못했을 협력 가능성을 엿볼 수도 있었습니다.
🌍 “유럽의 관문, 프랑크푸르트”
이번 행사의 마지막 일정, 우리 기업들은 프랑크푸르트 경제개발공사를 찾았습니다. 경제개발공사 역량센터 아시아담당 Polly Yu 디렉터는 “프랑크푸르트는 유럽의 심장과 같다”며, 독일과 유럽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안했습니다.
🚀 우리의 모험은 계속 됩니다... 그래야 하니까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최하고 Gravity Ventures와 GDIN이 공동 주관했으며, 현지 파트너 SkyinQ의 지원이 있었습니다. 도쿄와 프랑크푸르트에 이어, 곧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도 우리의 디지털 기술 기업들이 더 큰 글로벌 무대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갈 예정입니다. |
|
|
개념 정의가 다르면 AI도 혼동한다
- 글로벌 IT 기업들, 데이터의 ‘공용어’ 만들기 나서 |
|
|
AI가 지금보다 더 똑똑해지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최신 알고리즘이나 슈퍼컴퓨터 등 기술적 개선을 떠올리지만, 오히려 가장 기초적인 문제, 데이터에 저장된 언어를 제각각 다르게 사용하는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회사 안에서도 세일즈팀은 ‘최근 90일 내 구매한 사람’을 고객이라 부르고, 마케팅팀은 ‘지난달 콘텐츠에 반응한 사람’을 고객이라고 정의합니다. 이런 데이터를 AI가 동시에 학습하면 결과가 엇갈리고, 결국 신뢰할 수 없는 추론결과를 내놓게 됩니다.
🌍 경쟁사를 넘어, 손을 잡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nowflake, Salesforce, Tableau, BlackRock 등 글로벌 빅테크와 투자회사가 힘을 합쳤습니다. 이른바 오픈 시맨틱 인터체인지(Open Semantic Interchange, OSI), 쉽게 말해 데이터의 ‘공용어 사전’을 만들자는 겁니다.
- AI가 혼란 없이 데이터를 이해하도록 기업들이 사용하는 용어를 모두 같은 기준으로 정의, 일종의 ‘번역기’ 역할 수행
-
모든 기업이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공개 표준
🔑 왜 중요한가?
-
시간·비용 절약: 지금은 AI 프로젝트마다 데이터를 맞추느라 수주일이 걸림 → OSI 도입 시 불필요한 작업 대폭 축소
-
신뢰 회복: AI 추론 결과가 흔들리지 않고, 경영진이 안심하고 활용 가능
-
혁신 촉진: 데이터 표준화 덕분에 기업들은 이제 “데이터 맞추기” 대신 서비스와 사용자 경험 혁신에 집중
📈 기대되는 변화
OSI가 자리 잡으면 AI는 단순한 조력자가 아니라, “분석 파트너”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출 감소를 그냥 보고하는 게 아니라, 그 이유와 대응 방안까지 제안할 수 있는 것이죠.
모두가 강력한 AI 모델이 나오길 바라볼 때, 진정 필요한 것은 '파편화된 데이터'의 통일일 것입니다. |
|
|
각광받는 바이브 코딩, 모바일은 아직?
- 막대한 투자 유치에도 모바일 앱 다운로드와 매출은 부진 |
|
|
AI의 가장 뛰어난 활용 분야로 '바이브 코딩'이 각광을 받습니다. AI로 프로그램 코드를 직관적으로 작성하는 서비스 기업들이 수십억 달러 가치를 인정받으며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바일 앱 시장에서는 아직 기대를 충족하기에 멀어 보입니다.
📊 앱 다운로드와 매출, 기대에 못 미쳐
앱 인텔리전스 기업 Appfigures 분석에 따르면, 바이브 코딩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부분의 모바일 앱들은 다운로드 수도 미미하고 매출은 거의 없는 상황입니다.
대부분의 이용자는 여전히 데스크톱 환경에서 바이브 코딩을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바일 영역에서도 눈에 띄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모바일 앱 구독 플랫폼을 제공하는 RevenueCat은 현재 5만 개 이상의 앱에서 사용되며, AI 기반 iOS 앱의 50% 이상이 RevenueCat의 인앱 결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올해 2분기에만 AI 서비스 신규 구독자중 35%가 RevenueCat을 이용하는 등 폭발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기술은 아직 미완성, 그러나 수요는 분명
최근 여러 기관과 매체들이 개발자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AI가 만든 코드는 여전히 95% 이상 수정 작업이 필요할 만큼 완성도가 낮습니다(Fastly). 그럼에도 응답자의 84%가 AI 툴을 사용하거나 사용할 계획(Stack Overflow)이며, AI를 업무에 이미 도입한 경우도 90%(Jellyfish)에 달합니다.
기술적 완성도가 떨어짐에도 바이브 코딩에 대한 수요가 여전한 만큼,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으로의 변화도 곧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
|
🚀 크로스허브: 블록체인기반 인증 솔루션 기업 크로스허브가 베트남 보안기업 NT Cyber Solutions, 세르비아 IT 기업 Finiti, Angile Software Design, All Secure, Telegroup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현지 시장 개척에 나섰습니다.
🚀 윌로그: IoT 기반 물류 솔루션 기업 윌로그가 인도네시아 콜드체인협회(ICCA)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인도네시아 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입니다.
🚀 디토닉: AI 데이터 플랫폼 기업 디토닉이 인공지능 경영시스템 국제 인증 'ISO/IEC 42001'과 정보보호 경영시스템 국제 인증 'ISO/IEC 27001'을 동시 획득했습니다. |
|
|
🚀 올 여름, 어디에 글로벌 투자가 몰렸는가
프리시드 투자와 시리즈 A 투자는 투자 트렌드와 기술 동향을 가장 빠르게 보여주는 신호입니다. 글로벌 자본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지지만,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투자는 여전히 활발합니다.
CB Insight가 올해 8월 글로벌 초기 기업 투자 동향을 분석한 무료 리포트를 발간했습니다. AI, 하드테크, 우주, 퀀텀과 같은 ‘다음 세대 혁신’ 키워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 투자 흐름 한눈에 보기
-
2025년 8월, 전 세계 스타트업은 1,140건 이상의 초기 단계 투자 라운드를 유치했습니다.
-
약 60% 이상의 투자 라운드는 1000만 달러 이하의 소규모로, 초기 단계 중에서도 Seed 투자가 가장 활발했습니다.
-
국가별로는 예상대로 🇺🇸 미국(63%)이 독보적인 비중을 차지했고, 🇨🇳 중국·🇮🇳 인도, 그리고 🇰🇷 한국이 뒤를 이었습니다.
💵 투자자들이 주목한 핵심 분야
🤖AI, Everywhere
- 전체 초기 투자 기업 중 30% 이상이 AI 기반 제품·서비스를 개발 중.
- 특히 AI 에이전트 스타트업만 50건 이상 투자 유치.
- 로봇용 기초 모델을 개발하는 FieldAI의 경우, 20억 달러 가치를 인정받아 3억 1,400만 달러 Series A 유치
⛓️블록체인·로보틱스
- 블록체인/크립토 분야가 50건 이상
- 로보틱스 분야만 50건 이상으로, 자동화·제조·물류 등 산업 전반에서 AI와 결합한 로보틱스 기업이 급성장 중.
🚀하드테크 & 프런티어 기술
- 각각 20건 미만이지만 관심이 쏠리는 분야입니다.
- 🌌 위성 기술(13건) – 소형화·저비용 발사로 신규 위성 서비스 확장
- 🛰️ 우주 서비스·제조(9건) – 우주-지상 간 물류, 미세중력 활용 신소재 생산
- 🧠 양자컴퓨팅(7건) – 보안·산업용 알고리즘 개발, 양자 위성 네트워크 구축
- ⚛️ 핵융합(4건) – AI 붐이 만든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해결의 장기 솔루션
🏆 주목해야 할 플레이어
-
우리나라 TIPS 프로그램이 투자 16건으로 주요 투자자로 떠올랐습니다.
-
명불허전 Y-Combinator는 67개 스타트업에 투자하여 선두를 차지했습니다.
-
UAE 두바이 소재 FasterCapital이 23건 투자로 뒤를 이었습니다.
🌟 “다음 빅 씽”은 어디에?
여전히 초기 투자 시장의 중심에는 AI가 있지만, CB Insight의 리포트를 보면 우주, 양자, 핵융합 같은 ‘딥테크’ 영역이 점점 더 존재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AI 너머를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초기투자 VC인 Inspired Capital의 파트너 Alexa von Tobel과 Wired와의 인터뷰에서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
|
|
4F, Startup Campus Building #3, 20, Pangyo-ro 289, Bundang, Seongnam, Korea 13488
You are receiving this email because you have visited our site or asked us about regular newsletter.
|
|
|
|
|